![](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uiFtq/btsJFwGP0k0/5QqYPk2Nf84hPyiyizv0VK/img.jpg)
월화수 추석 연휴라서 어제(월요일)는 쉬었고 오늘 오후부터 슬금슬금 다시 작업중인데, 하루 푹 쉬니까 컨디션이 좋다! 또 요새 개인적인 일로 가족이랑 시간보내는 걸 뒤로 미뤘는데, 이번 연휴에는 통으로 함께 보내게 되어서 행복하다😊 푹 쉬었으니 다시 작업하러 가보자고~~! Github Pages에서 Vercel로 변경저번주에 React에서 Next.js로의 마이그레이션을 마치고, 오늘은 Github Actions로 Vercel가 자동 배포 되도록 환경을 셋팅했다. 기존에는 github pages로 배포 했었는데, Next.js로 마이그레이션 하면서 Vercel로 배포하는 것으로 바꾸었다. 이유는 아무래도 Vercel이 Next.js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호스팅 사이트이기 때문이다. 공식문서에도 Ne..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Bj6n3/btsHYT6enmZ/vJPOR0fkvGmEkc1fo3uz7k/img.png)
작업을 마치고 원격 저장소에 push를 했는데 Compare & Pull Request 버튼이 안보였다. 이 버튼이 떠야 PR을 날릴 수 있는데 당황스러웠다. 버튼이 뜨지 않은 이유는 간단했다. 예전에 A 브랜치에서 작업하고 이 작업물을 main에 merge 했었다. 이후 A 브랜치에서 작업물을 이어서 해야하는 경우가 있어서 새로 브랜치를 생성하지 않고 이어서 진행했다. 이런 경우 (A 브랜치가 이미 main에 병합된 상태에서 A 브랜치에서 작업을 계속하는 경우), GitHub은 해당 브랜치와 main 브랜치 간의 차이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Pull Request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고 인식하게 되어 Compare & Pull Request 버튼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New..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0TPIC/btsHZgy8giK/LWzKFJQmFFWeLzQadq3Ez1/img.png)
A 브랜치에서 B 브랜치로 넘어갔는데 A 브랜치의 내역이 B 브랜치에 적용되고 A 브랜치의 내역이 삭제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는 가끔 VSCode에서 브랜치 토글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데, 해결방법은 아래와 같다. 1. VSCode 강제 종료 및 재실행VSCode 강제 종료: 현재 열려 있는 VSCode를 강제 종료한다.VSCode 재실행: VSCode를 다시 실행한다.대부분의 경우 VSCode를 종료하고 재실행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2. . git/HEAD.lock 파일 삭제 강제 종료 후 VSCode를 다시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지속된다면 아래의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1.Git Clean 커맨드 실행 우선 작업중인 디렉터리의 불필요한 폴더와 파일을 제거한다.git clean..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t6i55/btsHEW9Jw2s/8WXANyhAJ0O13t5yqxqAf0/img.png)
원격(remote) 브랜치인 uptream/feature 를 추적(track) 하는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git checkout --track -b feature origin/featuregit checkout -t upstream/feature 1. git checkout --track -b feature origin/feature : 새로운 로컬 브랜치 feature를 생성하고 origin/feature를 추적하는 명령어이다.2. git checkout -t upstream/feature : upstream/feature를 추적하는 동일한 이름의 로컬 브랜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만약 로컬 브랜치에서 원격 브랜치의 이름과 해당 브랜치의 내용을 동일하게 로컬 브랜치로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ZnPY/btsG4yfWjMz/UwL9DQmuMEwKnMJuMcj1W1/img.png)
팀 프로젝트 초기 세팅 하다가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이 있어 정리해보려 한다. CRA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로컬에 자동으로 README.md 가 생성된다.나는 로컬에서 작업을 완료한 뒤 깃허브에서 repo를 생성하고 둘을 연결하기 위해 git pull origin main --allow-unrelated-histories 를 했는데 pull 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고, 소스 컨트롤 메세지에 Merge branch 'main' of ~ 뜨면서 README.md 파일을 merge하라고 떴다. 이유를 알아보니,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merge를 해야했었다.git pull origin main --allow-unrelated-histories 명령은 로컬 브랜치와 원격 브랜치 간의 병합을 수행한다.이때 --allo..
1. git stash --include-untrackedgit 에서 stash 시 새 파일과 같은 untracked file은 stash에 포함해 주려면 따로 명령어를 추가해 줘야 한다.git stash --include-untracked 위 명령어를 사용해서 stash를 추가한 후 나중에 적용해주려면 git stash list 위 코드를 작성해서 stash들의 list를 확인해야 한다. 위 코드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은 stash를 볼 수 있다. stash@{0}: WIP on ... wip: ... 이후 git stash apply stash@{0}로 신규 파일이 들어있는 stash를 적용시켜주면 된다. 2. 에러해결나의 경우 git stash apply stash@{0}를 쳤더니 아래와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dVtl/btsFTdrvhxB/VqCGNR3LL0UyTbIDde8ku1/img.png)
Git이 인식하는 파일의 상태는 총 네 가지가 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Git 파일의 네 가지 상태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먼저 Git에서 관리하는 파일은 크게 Untracked와 Tracked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Untracked는 Git에서 추적되지 않고 있는 파일이라는 의미이고, 생성 후 한 번도 git add 해주지 않은 상태의 파일을 가리킨다. 2. Tracked 파일은 Git에서 추적하고 있는 파일인데, 이것은 다시 Unmodifed, Modifed, Staged 이렇게 세 가지 상태로 나뉜다. 아래에서 각각의 상태에 대해 알아보자. Untracked- Git에서 추적하고 있지 않은 파일- 생성 후 한 번도 git add 한 적이 없는 파일TrackedUnmodifed- Commi..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nveq/btsFP8YZ0uw/hLEOYx0W4PhcM5MMukNoA0/img.png)
오늘은 git reset과 git revert를 사용하는 경우와 각각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git을 사용하다보면 롤백을 해야 할 때, 커밋을 취소하고 싶을 때 등등 다양한 상황이 발생한다. 이럴때 사용하는 git 명령어인 reset, revert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1. git reset: 커밋 취소 git reset [옵션] [커밋 아이디] git reset은 대표적으로 커밋을 취소하는 옵션이다. 옵션은 soft, mixed, hard 3가지가 있고 옵션에 따라 디테일한 설정이 가능하다. 옵션은 아래와 같다. (1) git --soft: HEAD가 특정 커밋을 가리키도록 이동시킨다. (2) git --mixed: staging area도 특정 커밋처럼 리셋한다. (3) git --hard..
- Total
- Today
- Yesterday
- hydrationboundary
- currentTarget
- react
- 비동기
- Next.js
- tanstackquery
- map
- rest parameter
- 객체
- innerhtml
- 유사배열객체
- 코드잇스프린트
- CSS
- Git
- html
- 배열
- GitHub
- 동기
- 제어 컴포넌트
- 취업까지달린다
- 비제어 컴포넌트
- arguments
- 중급 프로젝트
- Target
- 프론트엔드
- 코드잇 스프린트
- javascript
- 리액트
- 스프린트프론트엔드6기
- j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