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Computational Thinking

1.알고리즘 숫자, 글자, 색깔 등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2진법으로 표현하는 것은 입력(input)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입력에서 출력을 얻을 수 있을까? 정답은 알고리즘이라는 과정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알고리즘은 입력(input)에서 받은 자료를 출력(output) 형태로 만드는 처리 과정이다. 다시말해 입력값을 출력값의 형태로 바꾸기 위해 어떤 명령들이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규칙들의 순서적 나열이다. 또한 같은 출력값이라도 알고리즘에 따라 출력 하기까지의 시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알고리즘을 짜는 것이 중요하다. 2. 정확한 알고리즘 알고리즘을 평가할 때는 정확성, 효율성이 중요하다. 여기서 효율성의 의미는 작업을 완료하기까지 얼마나 시간과 노력을 덜 들일 수 있는 지에..
1. 문자의 표현 컴퓨터는 스위치는 ON/OFF 하면서 숫자를 표현한다. 그렇다면 문자는 어떻게 표현할까? 바로 문자를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약속(표준)이 있다. 그 중 하나는 ASCII(아스키코드/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이다. ASCII는 총 128개의 부호로 정의되어 있고 알파벳 A는 10진수 기준으로 65, 알파벳 B는 66로 되어있다. 이외에도 Unicode라는 표준에서는 더 많은 비트를 사용하여 좀 더 다양한 다른 문자들을 표현할 수 있다. 예시로 Unicode는 😂(기쁨의 눈물) 이런 이모티콘 까지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이모티콘은 10진법으로 128,514이다. 2진법으로는 11111011000000010 인데 만약 ..
1. 컴퓨터 과학 컴퓨터 과학이란 문제 해결에 대한 학문이다. 문제 해결은 입력(input)을 전달받아 출력(output)을 만들어 내는 과정이며 그 중간 과정을 컴퓨터 과학이라고 한다. 이러한 입출력을 표현하기 위해선 약속(표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컴퓨터 과학의 가장 첫 번째 개념은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대한 표현 방법이다. 2. 2진법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0, 1, 2, 3, 4, 5, 6, 7, 8, 9 총 10개의 기호로 표현하는 것은 10진법이다. 하지만 컴퓨터는 이렇게 많은 숫자가 없기 때문에 오직 0과 1로만 표현하는 2진법을 사용한다. 5라는 숫자를 2진법으로 나타내어보자. 2진법에서 첫 번째자리는 2의0제곱 두 번째 자리는 2의1제곱 세 번째 자리는 2의2제곱을 나타낸다. 따라서 5..
Rynn
'CS/Computational Thinking'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