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1. 제어 컴포넌트 인풋 태그의 value 속성을 지정하고 사용하는 컴포넌트이다. 리액트에서 인풋의 값을 제어하는 경우로 리액트에서 지정한 값과 실제 인풋 value 의 값이 항상 같다. 이렇게 하면 1. 값을 예측하기가 쉽고 2. 인풋에 쓰는 값을 여러 군데서 쉽게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리액트에서 권장하는 방법이다. 이때 State냐 Prop이냐는 중요하지 않고 리액트로 value 를 지정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아래 두 경우 모두 제어 컴포넌트이다. function TripSearchForm() { const [values, setValues] = useState({ location: 'Seoul', checkIn: '2022-01-01', checkOut: '2022-01-02', }) co..
목차 1. DOM (Document Object Model) 이란? 2. DOM의 문제점 3. Virtual DOM 보통 자바스크립트를 배우면서 자연스럽게 리액트도 배우게 된다. 그럼 리액트를 왜 사용하게 됐냐는 질문을 받으면 뭐라고 답해야 할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니까, 인기있는 라이브러리니까 등 여러 답변이 있겠지만, 만족스럽지는 못한 답변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앞으로 리액트의 등장배경, 내부동작들을 정리하며 어떠한 이유에서 리액트가 등장했고, 또 왜 리액트를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공부하려고 한다. DOM은 HTML, CSS, JS를 익히면서 알게된 개념인데, 리액트에서 Virtual DOM 이라는 개념으로 또 만나게 됐다. Virtual DOM이란 무엇일까? 우선 DOM의 의미부터 살펴보자. ..
Rynn
'react'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