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엔드

1. class와 id의 차이점 설명하기 id는 유일한 요소에 적용할 때, css는 복수의 요소에 적용할 때 사용한다. 또한 하나의 id는 하나의 요소에서 한 번만 사용이 가능하지만 class는 동일한 클래스를 여러 요소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추가 질문: 우선순위는 id와 class 중에 어떤 것이 더 높은가? id가 더 높다 2. padding과 margin의 차이점 설명하기 margin은 대상의 외부 여백을 의미하고, padding은 대상의 내부 여백을 의미한다. 3. display: block과 display: inline의 차이점 설명하기 display: block 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배치되고 너비와 높이를 지정할 수 있다. 반면 display: inline 은 평소에 글 쓰는 방향으로 줄이 ..
1. width:auto; 과 width:100%; 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기 width: auto는 내용물(자식 요소)의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크기가 조절된다. 하지만 display: block인 경우에 width: auto를 설정할 경우 내용물 크기가 아닌 부모 요소의 크기만큼 조절된다. 결론적으로 태그의 요소 성질(block, inline-block, inline)에 맞춰 자동설정 된다. width: 100%는 부모 요소 크기만큼 크기가 조절된다. 따라서 margin을 추가하면 부모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먼저 iframe태그를 이용해서 Youtube영상을 넣었다. 영상 넣는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원하는 영상에 들어가서 동영상 아래의 공유버튼을 누른 뒤 첫번째 버튼인 퍼가기를 누르면 이렇게 HTML 코드가 뜨는데 복사해주면 끝이다. 근데 HTML 처음 배웠을 때 비디오를 삽입하고 싶은 경우 video 태그를 사용한다고 배웠었는데 Youtube는 특이하게 iframe을 통해 동영상을 넣어야 한다. - 자동재생, 음소거, 반복재생 등 영상의 옵션은 주소의 매개변수(파라미터)로 작성하면 되고 추가적으로 넣을 매개변수는 &를 사용하면 된다. 나는 자동재생과 음소거를 하기 위해 autoplay와 mute를 각각 1로 설정했다. 이렇게 하면 영상 재생은 잘 된다. 그런데 콘솔창을 보면..
Rynn
'프론트엔드'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