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문자의 표현
컴퓨터는 스위치는 ON/OFF 하면서 숫자를 표현한다. 그렇다면 문자는 어떻게 표현할까?
바로 문자를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약속(표준)이 있다.
그 중 하나는 ASCII(아스키코드/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이다.
ASCII는 총 128개의 부호로 정의되어 있고 알파벳 A는 10진수 기준으로 65, 알파벳 B는 66로 되어있다.
이외에도 Unicode라는 표준에서는 더 많은 비트를 사용하여 좀 더 다양한 다른 문자들을 표현할 수 있다.
예시로 Unicode는 😂(기쁨의 눈물) 이런 이모티콘 까지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이모티콘은 10진법으로 128,514이다. 2진법으로는 11111011000000010 인데 만약 친구에게 스마트폰으로 😂 이모티콘을 보낸다면 11111011000000010 이라는 0과 1의 패턴을 보낸것과 같다.
2. 그림, 영상, 음악의 표현
문자 뿐 만 아니라 그림 역시도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스크린을 자세히 살펴보면 작은 점들이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을 띄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런 작은 점을 픽셀이라고 한다.
각각의 픽셀은 세 가지 색을 서로 다른 비율로 조합하여 특정한 색을 갖게 된다.
예를들어 빨간색 72, 초록색 72, 파란색 33을 섞게 되면 노란색이 되는 것과 같은 방식인데 이 숫자들을 표현하는 방식을 RGB(Red, Green, Blue) 라고 한다.
즉, 노란색의 커다란 이미지는 72 73 33 으로 정의되는 무수히 많은 픽셀들의 RGB코드(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영상 또한 수 많은 그림을 빠르게 연속적으로 이어 붙여놓은 것이기 때문에 숫자로 표현이 가능하며
음악도 마찬가지로 각 음표를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CS > Computational Thin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팅 사고] 알고리즘 (0) | 2023.06.30 |
---|---|
[컴퓨팅 사고] 2진법 (0) | 2023.06.28 |
- Total
- Today
- Yesterday
- 취업까지달린다
- 중급 프로젝트
- innerhtml
- arguments
- CSS
- 비제어 컴포넌트
- react
- js
- map
- hydrationboundary
- 코드잇 스프린트
- rest parameter
- html
- Git
- javascript
- 코드잇스프린트
- 리액트
- 스프린트프론트엔드6기
- 객체
- 배열
- 비동기
- Next.js
- GitHub
- 프론트엔드
- Target
- 유사배열객체
- 제어 컴포넌트
- currentTarget
- 동기
- tanstackquer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