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URL은 크게 호스트, 패스, 쿼리로 이루어져 있다.

https://www.example.com/search?q=apple&category=fruit&page=1

위의 URL에서 쿼리 부분은 어디부터 어디까지인가?

답: 물음표 뒤부터 끝까지

 


2. 물음표에 들어갈 **서버로 보내는 리퀘스트의 종류**는?

기존 데이터를 조회하는 리퀘스트 - GET
새 데이터를 추가하는 리퀘스트 - ?
기존 데이터를 수정하는 리퀘스트 - PUT
기존 데이터를 삭제하는 리퀘스트 - DELETE

답: POST

 


3. **상태 코드(Status Code)**에 관한 문제이다. 각 번호에 물음표에 들어갈 상태 코드는 무엇일까?

 

(1) 클라이언트의 리퀘스트가 성공 처리되었음을 의미하는 상태 코드는 ? 번 대 이다.
(2) 404 Not Found는 해당 ? 이 나타내는 리소스를 찾을 수 없다는 뜻이다.

(3) ? 번 대 상태코드는 서버 쪽의 문제로 인해 리퀘스트를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상태코드들이다.

답: 200, URL, 500

 


4.** Content-Type**에 관한 문제이다.

(1) Content-Type 헤더의 값은 '주 타입(main type)/서브 타입(sub type)'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JSON 데이터를 나타내는 Content-Type 헤더 값은 무엇인가?
(2) Content-Type이 필요한 이유는 뭘까?

 

답: application/json, Content-Type 헤더가 존재하면 바디의 데이터를 직접 확인해서 그 타입을 추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