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관성이 없는 메세지 내용은 각 커밋의 위치에서 어떤 작업을 했는지 명확하게 알아 볼 수 없다.
또한 시각적 통일성을 떨어뜨려 커밋 히스토리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협업 전 커밋 규칙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오늘은 커밋 메세지를 일관성있는 규칙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정리하려 한다.
1. Commit Message 구조
type(타입) : title(제목)
body(본문, 생략 가능)
Resolves : #issueNo, ...(해결한 이슈 , 생략 가능)
See also : #issueNo, ...(참고 이슈, 생략 가능)
2. 기본규칙
- 제목과 본문을 빈 행으로 구분
- 제목은 영문 기준 50글자 이하
- 첫 글자는 대문자로 작성
- 제목 끝에 마침표X
- 제목은 명령문으로 사용, 과거형X
- 본문의 각 행은 영문 기준 72글자 이하
- 어떻게 보다는 무엇과 왜
3. Type
Type 키워드 | 사용 시점 |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
fix | 버그 수정 |
docs | 문서 수정 |
style | 코드 스타일 변경 (코드 포매팅, 세미콜론 누락 등) 기능 수정이 없는 경우 |
design | 사용자 UI 디자인 변경 (CSS 등) |
test | 테스트 코드, 리팩토링 테스트 코드 추가 |
refactor | 코드 리팩토링 (ex. 변수명 수정 등의 작업 포함) |
build | 빌드 파일 수정 |
ci | CI 설정 파일 수정 |
perf | 성능 개선 |
chore | 빌드 업무 수정, 패키지 매니저 수정 (gitignore 수정 등), production code와 무관한 부분 |
rename | 파일 혹은 폴더명을 수정만 한 경우 |
remove | 파일을 삭제만 한 경우 |
대부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feat와 fix이다.
style, design처럼 로직적인 변화가 없을 경우는 커밋 메세지에 명시 해 주는 것 만으로도 추후 오류를 찾을 때 도움이 된다.
4. 커밋 메세지 예제
Feat: 관심지역 알림 ON/OFF 기능 추가(#123)
시군구의 알림을 각각 ON/OFF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함
- opnion0055: 구분 코드
해결: close #123
협업 시 서로의 작업 내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작성한 커밋에 대한 내용을 잘 적는 것이 중요하다. 팀에서 위와 같은 컨벤션으로 일 할 수 있다면 히스토리를 파악하고 코드 리뷰도 짧은 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pull과 git fetch의 차이점 / git fetch 사용법 (0) | 2024.03.18 |
---|---|
[Git] merge 하는 법 (0) | 2023.10.16 |
[Git] Fast-Forward (병합 방법) (0) | 2023.10.13 |
[Git] 자주 쓰는 Git 명령어 정리 (0) | 2023.09.29 |
[Git] Github에 코드 올리기 (0) | 2023.09.10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js
- GitHub
- 유사배열객체
- javascript
- 코드잇 스프린트
- 객체
- Target
- Next.js
- 비동기
- map
- 리액트
- 제어 컴포넌트
- tanstackquery
- 취업까지달린다
- arguments
- react
- rest parameter
- 배열
- currentTarget
- 중급 프로젝트
- 스프린트프론트엔드6기
- hydrationboundary
- innerhtml
- Git
- CSS
- html
- 동기
- 코드잇스프린트
- 비제어 컴포넌트
- 프론트엔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