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dVtl/btsFTdrvhxB/VqCGNR3LL0UyTbIDde8ku1/img.png)
Git이 인식하는 파일의 상태는 총 네 가지가 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Git 파일의 네 가지 상태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먼저 Git에서 관리하는 파일은 크게 Untracked와 Tracked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Untracked는 Git에서 추적되지 않고 있는 파일이라는 의미이고, 생성 후 한 번도 git add 해주지 않은 상태의 파일을 가리킨다. 2. Tracked 파일은 Git에서 추적하고 있는 파일인데, 이것은 다시 Unmodifed, Modifed, Staged 이렇게 세 가지 상태로 나뉜다. 아래에서 각각의 상태에 대해 알아보자. Untracked- Git에서 추적하고 있지 않은 파일- 생성 후 한 번도 git add 한 적이 없는 파일TrackedUnmodifed- Commi..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Q9M8L/btsFRbHXHLh/MahEE8ShU60iiKkb6B6Ghk/img.png)
1. 다음중, git branch 와 git checkout 의 동작을 하나의 명령어로 축약 가능한 것은? ㄱ. git branch -C ㄴ. git branch --switch ㄷ. git checkout -B ㄹ. git checkout --create 답: ㄷ 2. 다음중, merge 도중 발생한 conflict 을 해결할 때, 올바른 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ㄱ git add . git commit ㄴ git merge --force ㄷ git merge --abort 답: ㄴ 해설: ㄴ. git merge --force 명령어는 merge를 강제로 수행하게 하는 옵션이다. 이는 충돌을 발생시킨 변경 사항을 무시하고 강제로 병합을 시도하기 때문에 충돌을 해결하는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 ㄱ.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nveq/btsFP8YZ0uw/hLEOYx0W4PhcM5MMukNoA0/img.png)
오늘은 git reset과 git revert를 사용하는 경우와 각각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git을 사용하다보면 롤백을 해야 할 때, 커밋을 취소하고 싶을 때 등등 다양한 상황이 발생한다. 이럴때 사용하는 git 명령어인 reset, revert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1. git reset: 커밋 취소 git reset [옵션] [커밋 아이디] git reset은 대표적으로 커밋을 취소하는 옵션이다. 옵션은 soft, mixed, hard 3가지가 있고 옵션에 따라 디테일한 설정이 가능하다. 옵션은 아래와 같다. (1) git --soft: HEAD가 특정 커밋을 가리키도록 이동시킨다. (2) git --mixed: staging area도 특정 커밋처럼 리셋한다. (3) git --hard..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t3L0B/btsFS0SIqQF/UCSimJ1nUoE25AkQMosqGK/img.png)
1. git init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답: 새로운 Git 저장소 (repository)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Git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디렉토리나 특정 디렉토리를 Git 저장소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파일이 추가되거나 삭제 될 때 변경되는 내용을 감지 할 수 있다. 2. 아래 이미지에서 git commit를 사용했을 때 오류가 나온 이유를 설명하시오 답: 커밋을 하기 전에 작업한 디렉토리의 변경사항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서 발생한 에러이다. git commit 전에 git add 명령어로 작업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해야 한다. 3. 특정 커맨드의 사용법이 궁금할때 사용할수 있는 코드를 설명하시오 답: --help 해설: --help 옵션을 사용하면 해당..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A5Rls/btsFRcTz9iC/5j2wV4OsUIqZEku3PjWPTK/img.png)
오늘 Git 강의를 듣고 난 뒤 git fetch의 기능을 알게 되었다. 지금까지 git pull만 사용했는데 git fetch도 Git에서 중요한 명령어 중 하나인 것 같아 정리해보려 한다. 1. git pull과 git fetch의 차이점1. git pull리모트 레포지토리의 브랜치를 검토할 필요없이 바로 합치고 싶을 때 사용 2. git fetch1) 리모트 레포지토리에서 가져온 브랜치의 내용을 머지하기 전에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2) 리모트 레포지토리에 있는 브랜치의 내용과 내가 작성한 코드를 비교해서 잘못된 부분이 없는지 검토해야 할 때 사용 한 마디로 정리하면 git pull은 git fetch에 merge까지 해주는 커맨드이고 git fetch는 내용을 가져오기만 하고 merge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cBsoz/btsFQz2mm01/Fy3srDWcI2ULoyHKWRyzVk/img.jpg)
2주차는 CSS 레이아웃, 실용적 유닉스 커맨드라인, GIt 활용법에 대해 배웠다. 그리고 배운 것을 바탕으로 페이지를 디자인하는 첫번째 스프린트 미션도 진행했다! 순식간에 한 주가 지나간 것 같은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고, 특히 CSS 레이아웃에 대해 복습할 수 있어서 좋았다. 또 팀 분위기가 처음에는 어색했는데 이제는 많이 가까워져서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어서 많이 배우는 중이다ㅎㅎ 활동기간 동안 팀이 여러번 바뀌겠지만 매 팀마다 열심히 참여해서 내가 모르는 것들과 아는 것들을 공유하며 성장하고 싶다. 2주차 위클리 페이퍼 주제는 아래와 같다. -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면 좋은 점을 설명해 주세요. - position의 속성들과 각각의 특징을 설명해 주세요. 하나씩 살펴보자...
1. 홈 디렉토리 안에 hello world 디렉토리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아래 커맨드를 실행하면 오류가 난다. cd hello world ls hello world 오류가 나는 이유와 바르게 고친 답은 무엇일까? 답: hello world가 두 개의 아규먼트로 인식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름에 공백이 들어갈 때는 특수 기호를 사용해야 한다. 고친답: ls 'hello world', ls "hello world", ls hello\ world 2. 다음의 파일과 디렉토리 커맨드의 의미를 각각 말하여라. (1) cd (2) mkdir *추가질문: 여러 경로를 한꺼번에 줘서 여러 디렉토리를 한꺼번에 만들 수 있는가? OX (3) touch (4) cat (5) mv (6) cp (7) rm 답..
1. sticky 포지션은 ( ㄱ ) 처럼 원래 위치에 배치 되어 있다가 정해진 위치에 브라우저가 스크롤 되면 ( ㄴ ) 처럼 고정되어 배치된다. 빈칸에 들어갈 단어들이 알맞게 짝 지어진 것은? 1) ㄱ. static - ㄴ. relative 2) ㄱ. static - ㄴ. absoulte 3) ㄱ. static - ㄴ. fixed 답: 3 2. flexbox에서 간편하게 요소들 사이에 간격을 넣을 수 있는 속성은 무엇인가? 답: gap 3. flexbox에서 어떤 요소의 크기를 원하는 대로 고정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속성과 속성 값은 무엇인가? 답: flex, flex-basis 4. grid에서 minmax로 최댓값, 최솟값을 정할 때 최댓값에만 fr(fraction)을 사용할 수 있다.(O,..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pYJ1z/btsFM8wpCQT/OfJ4gLKqYpQRzvi9MEAQ3K/img.png)
1. relative 포지션의 A, 그 밑의 absolute 포지션의 B가 있다. B를 자신의 조상 요소인 A와 완전히 겹치게 두고 싶을 때, 어떤 코드를 작성해야 할까? 답: /* A 요소에 relative 포지션을 설정한다. */ .A { position: relative; } /* B 요소에 absolute 포지션을 설정하고 top, left 값을 0으로 지정하여 A 요소와 겹치도록 한다. */ .B {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 2. 다음의 사진을 보았을 때, 아이템들의 둘레에 균일한 간격을 주게 하는 flex 컨테이너의 속성은? 답: justify-content: space-around; 3. flex와 grid의 차이점을 설명해라 답: flex는 1차..
1. 글을 쓰듯이 배치되는 방식을 Normal Flow라고 한다. Normal Flow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1) relative 2) fixed 3) static 4) absoulte 5) sticky 6) inline-block 답: 2, 4 해설: 우선 Normal Flow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Normal Flow란? 요소의 레이아웃을 전혀 제어하지 않았을 때, 브라우저에서 기본적으로 요소가 배치되는 흐름을 말한다. 인라인요소, 블록레벨요소 등 특성에 따라 기본적으로 요소가 배치되는 방식이 있기 때문에 요소의 특성에 따라 Normal Flow가 정해진다. - static: 단순히 Normal Flow로 배치된다. - relative: Nor..
- Total
- Today
- Yesterday
- GitHub
- html
- 리액트
- 프론트엔드
- Next.js
- 코드잇스프린트
- tanstackquery
- 비동기
- hydrationboundary
- 취업까지달린다
- innerhtml
- currentTarget
- 동기
- Git
- map
- 스프린트프론트엔드6기
- Target
- 객체
- js
- 유사배열객체
- rest parameter
- CSS
- react
- 배열
- 비제어 컴포넌트
- 코드잇 스프린트
- javascript
- arguments
- 제어 컴포넌트
- 중급 프로젝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