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git reset과 git revert를 사용하는 경우와 각각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git을 사용하다보면 롤백을 해야 할 때, 커밋을 취소하고 싶을 때 등등 다양한 상황이 발생한다. 이럴때 사용하는 git 명령어인 reset, revert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1. git reset: 커밋 취소 git reset [옵션] [커밋 아이디] git reset은 대표적으로 커밋을 취소하는 옵션이다. 옵션은 soft, mixed, hard 3가지가 있고 옵션에 따라 디테일한 설정이 가능하다. 옵션은 아래와 같다. (1) git --soft: HEAD가 특정 커밋을 가리키도록 이동시킨다. (2) git --mixed: staging area도 특정 커밋처럼 리셋한다. (3) git --hard..

1. git init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답: 새로운 Git 저장소 (repository)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Git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디렉토리나 특정 디렉토리를 Git 저장소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파일이 추가되거나 삭제 될 때 변경되는 내용을 감지 할 수 있다. 2. 아래 이미지에서 git commit를 사용했을 때 오류가 나온 이유를 설명하시오 답: 커밋을 하기 전에 작업한 디렉토리의 변경사항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서 발생한 에러이다. git commit 전에 git add 명령어로 작업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해야 한다. 3. 특정 커맨드의 사용법이 궁금할때 사용할수 있는 코드를 설명하시오 답: --help 해설: --help 옵션을 사용하면 해당..

오늘 Git 강의를 듣고 난 뒤 git fetch의 기능을 알게 되었다. 지금까지 git pull만 사용했는데 git fetch도 Git에서 중요한 명령어 중 하나인 것 같아 정리해보려 한다. 1. git pull과 git fetch의 차이점1. git pull리모트 레포지토리의 브랜치를 검토할 필요없이 바로 합치고 싶을 때 사용 2. git fetch1) 리모트 레포지토리에서 가져온 브랜치의 내용을 머지하기 전에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2) 리모트 레포지토리에 있는 브랜치의 내용과 내가 작성한 코드를 비교해서 잘못된 부분이 없는지 검토해야 할 때 사용 한 마디로 정리하면 git pull은 git fetch에 merge까지 해주는 커맨드이고 git fetch는 내용을 가져오기만 하고 merge는 ..
- Total
- Today
- Yesterday
- Next.js
- CSS
- tanstackquery
- 리액트
- Git
- js
- currentTarget
- 스프린트프론트엔드6기
- Target
- hydrationboundary
- 유사배열객체
- 비동기
- 비제어 컴포넌트
- 코드잇 스프린트
- GitHub
- 객체
- 제어 컴포넌트
- react
- arguments
- 취업까지달린다
- html
- 중급 프로젝트
- 동기
- 코드잇스프린트
- map
- javascript
- innerhtml
- 배열
- rest parameter
- 프론트엔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