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overflow 속성은 크기가 제한된 영역에서 많은 양의 컨텐츠를 보여줄 때 유용하다.
visible
overflow 속성을 별도로 명시해주지 않았을 때 적용되는 기본값이다.
overflow 속성을 생략하거나, overflow 속성값을 visible로 지정해줄 경우 컨텐츠가 경계선 밖으로 삐져나온다. 또한 overflow 속성이 visible로 설정되어 있는 HTML 요소(element)는 내부 공간보다 담아야하는 컨텐츠가 더 많은 경우, 컨텐츠를 밖으로 밀어내는 한이 있더라도 끝까지 보여준다.
See the Pen Untitled by lin (@nnlynn) on CodePen.
hidden
반대로 overflow 속성을 hidden으로 설정해주면 해당 HTML 요소 밖으로 삐져나오는 컨텐츠를 숨길 수 있다. 또한 overflow 속성을 hidden으로 지정된 요소 내에서는 긴 텍스트의 뒷 부분이 아예 잘린다.
See the Pen Untitled by lin (@nnlynn) on CodePen.
scroll
overflow 속성을 scroll로 설정해주면 스크롤바가 생기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한다면 컨텐츠를 끝까지 볼 수 있다. 또한 overflow 속성 대신에 overflow-x 속성이나 overflow-y 속성을 사용하면 가로 또는 세로만 선택적으로 스크롤바를 보여줄 수 있다.
See the Pen Untitled by lin (@nnlynn) on CodePen.
auto
컨텐츠의 양이 가변적이어서 스크롤바를 보여줘야 할지 말지 미리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overflow 속성값으로 auto를 사용하면 된다. 요소의 overflow 속성을 auto로 설정해주면, 그 안의 컨텐츠의 크기가 주어진 공간을 넘어가는 경우에만 스크롤바가 생긴다.
See the Pen Untitled by lin (@nnlynn) on CodePen.
'Client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flex 속성 정리 (flex-basis, flex-grow, flex-shrink) (0) | 2024.03.12 |
---|---|
[CSS] active와 focus의 차이 (0) | 2023.10.20 |
[CSS] transform(translate, scale, rotate, skew) (0) | 2023.07.26 |
[CSS] box-sizing 속성 (0) | 2022.06.12 |
[CSS] position (relative, absolute) (0) | 2022.06.03 |
- Total
- Today
- Yesterday
- GitHub
- Next.js
- map
- 객체
- 리액트
- react
- arguments
- tanstackquery
- 코드잇스프린트
- javascript
- innerhtml
- CSS
- Git
- 스프린트프론트엔드6기
- js
- 취업까지달린다
- currentTarget
- 중급 프로젝트
- 프론트엔드
- rest parameter
- 동기
- 배열
- 유사배열객체
- hydrationboundary
- html
- 비동기
- 비제어 컴포넌트
- Target
- 제어 컴포넌트
- 코드잇 스프린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